안녕하세요. David 입니다.
미국 이민생활 수년이나 되었는데 영어 가르쳐 달라던분..
대화는 하고 싶은데 영어가 안되어서 통역좀 해달라던분들...
그분들 지식이나 배움의 정도가 꽤 많아 보였었고 영어를 전혀 못하실 분들은 아닌거 같았었는데...
제생각에는 아마도 영어에 대한 두려움..울렁증..
혹은, 내가 말하는게 틀리면 어떻하지?
이러한 움츠러든 마음 때문에 단어도 많이 알고 문법도 많이 알지만 입 밖으로는 나오지 않는것이 아닐까....생각드네요.
원어민 조차도 말을할때 틀린 문법 사용하기도하고 발음이 좋지 않은 경우 많답니다...
우리가 우리말하는데 문법 완벽하게 적용하지 않듯이.. 그리고 아나운서가 아니고서는 정확한 우리말을 하는 사람이 과연 얼마나 될까요?
더군다나 방송용이 아닌 일반 대화에서 말이죠..
물론 그 대화속에 쓰이는 어휘력 수준에서 배움의 정도의 차이는 있겠지만.....
제가 하고자 하는 말은..
벌벌 떨지 마시라는 거에요.. 겁먹지 마세요.
외국인이 우리말을 어눌하게 하는것이 정상이고, 우리가 외국말을 하는데 있어서 조금 덜 자연스러울수 있어요. 뭐.. 당연한거 아닐까요?
내가 아는 단어만으로도 충분히 의사전달 할수 있는 능력까지만이라도 집중적으로 배우시고
말하는거 연습 많이하시고...
상대방 말하는거 듣다가 모르겠거나 모르는 단어면 다시 물어보시면 쉬운 단어로 대처해서 말해줄거니까.....아시겠죠?
사실 이글은 어제 오후에 작성중이었어요.
약먹고 잠시 쉬려고 누운것이....흐흐..
이어서 조동사 세번째...능력과 가능성.
can, could, may, might.
can 가능하다, 할수있다 등의 뜻인것은 다들 아시죠?
문제는 could, may, might 입니다.
과연 여러분은 이 3단어들을 어떻게 사용하는지
확실히 알고 계십니까?
could 는 단순히 can 의 과거형일까요?
may 와 might 는 또 어떻죠?
확실히 알려드릴게요. 잘 따라오세요.
can, could, may, might 는 모두 가능성의 정도입니다.
의 사진은 두사람이 강으로 뛰는 상황이죠?
간단하게 주인공 잡고 하는 상황이니까 be ~ ing
전치사 명사 세트 넣어주면 끝..
They are jumping into the river.
그런데 저기에 내가 서 있다면?
나도 저들처럼 뛰어 내릴수 있을까? 음...
못한다고 말하긴 싫고....
할수는 있을것 같은데...
뭐...여러 생각들이 있겠죠?
다이빙 잘 하시는 분들은
아..저거 난 할수 있어. ( 100% )
I can do that.
이렇게 말할것이고..
다이빙 좀 해보긴 했지만 저정도 높이면...고민을 좀 한다...그럼..
아.. 저건 할수 있을것 같긴한데...( 60% )
I could do that.
어렸을때는 그래도 동네 작은 강에서 좀 뛰어는 봤다......그렇지만...어후...겁 나는데?
아...음...아마...할수도 있을거야....( 30% )
I may do that.
하...보기만 해도 아찔하네...그래도 어찌어찌하면 되지도 않을까?
아....음...아마..어쩌면..할수 있을지도...( 10% )
I might do that.
정도의 차이가 보이세요?
Can 은 가능성. 즉, 그 능력이 되어야 하겠죠?
Could 부터는 100%가 아니기에 확실히 가능하다고 볼수 없어요.
I am really hungry so I could eat an elephant.
나 너무 배고파서 코끼리도 먹을수 있을거야.
진짜 코끼리 한마리를 먹는게 가능하진 않죠...
그렇다고 여러분들이 대화할때 가능한데도 예의차린다고 can 을 안쓰시면 안되요...
우리 정서와는 다르게 잘 못해도 난 잘 한다고 생각해야하고 잘한다 말해야 해요.
자신감 없는 사람은 별로랍니다.
왠만하면 할수 있다...라고 하세요..
could 를 can 의 과거형으로 쓸때는 문맥 자체가 과거형이어야 한다고 말씀드렸었죠?
잊지마세요...
may , might 관계도 마찬가지랍니다.
과거형의 문맥에서만 might 를 사용하고 그렇지 않을땐 가능성의 정도에 의해 거의 희박할정도일때 might 를 사용하시면 됩니다.
조동사 3가지 분류로 살펴보았구요.
이로써 저희는 기본 영어어순, 주어정하기, 시제, 영어 길게말하는 첫번째 방법, 조동사 까지 살펴 보았습니다.
다음 글 부터는 전치사 들어 가도록 할게요.
부정문이나 의문문도 해야하지만...
우선은 전치사 위주로 진행하고 틈틈히 다른것들도 다루겠습니다.
즐거운하루 되시고 한주 마무리 잘하세요..^^♡
미국 이민생활 수년이나 되었는데 영어 가르쳐 달라던분..
대화는 하고 싶은데 영어가 안되어서 통역좀 해달라던분들...
그분들 지식이나 배움의 정도가 꽤 많아 보였었고 영어를 전혀 못하실 분들은 아닌거 같았었는데...
제생각에는 아마도 영어에 대한 두려움..울렁증..
혹은, 내가 말하는게 틀리면 어떻하지?
이러한 움츠러든 마음 때문에 단어도 많이 알고 문법도 많이 알지만 입 밖으로는 나오지 않는것이 아닐까....생각드네요.
원어민 조차도 말을할때 틀린 문법 사용하기도하고 발음이 좋지 않은 경우 많답니다...
우리가 우리말하는데 문법 완벽하게 적용하지 않듯이.. 그리고 아나운서가 아니고서는 정확한 우리말을 하는 사람이 과연 얼마나 될까요?
더군다나 방송용이 아닌 일반 대화에서 말이죠..
물론 그 대화속에 쓰이는 어휘력 수준에서 배움의 정도의 차이는 있겠지만.....
제가 하고자 하는 말은..
벌벌 떨지 마시라는 거에요.. 겁먹지 마세요.
외국인이 우리말을 어눌하게 하는것이 정상이고, 우리가 외국말을 하는데 있어서 조금 덜 자연스러울수 있어요. 뭐.. 당연한거 아닐까요?
내가 아는 단어만으로도 충분히 의사전달 할수 있는 능력까지만이라도 집중적으로 배우시고
말하는거 연습 많이하시고...
상대방 말하는거 듣다가 모르겠거나 모르는 단어면 다시 물어보시면 쉬운 단어로 대처해서 말해줄거니까.....아시겠죠?
사실 이글은 어제 오후에 작성중이었어요.
약먹고 잠시 쉬려고 누운것이....흐흐..
이어서 조동사 세번째...능력과 가능성.
can, could, may, might.
can 가능하다, 할수있다 등의 뜻인것은 다들 아시죠?
문제는 could, may, might 입니다.
과연 여러분은 이 3단어들을 어떻게 사용하는지
확실히 알고 계십니까?
could 는 단순히 can 의 과거형일까요?
may 와 might 는 또 어떻죠?
확실히 알려드릴게요. 잘 따라오세요.
can, could, may, might 는 모두 가능성의 정도입니다.
의 사진은 두사람이 강으로 뛰는 상황이죠?
간단하게 주인공 잡고 하는 상황이니까 be ~ ing
전치사 명사 세트 넣어주면 끝..
They are jumping into the river.
그런데 저기에 내가 서 있다면?
나도 저들처럼 뛰어 내릴수 있을까? 음...
못한다고 말하긴 싫고....
할수는 있을것 같은데...
뭐...여러 생각들이 있겠죠?
다이빙 잘 하시는 분들은
아..저거 난 할수 있어. ( 100% )
I can do that.
이렇게 말할것이고..
다이빙 좀 해보긴 했지만 저정도 높이면...고민을 좀 한다...그럼..
아.. 저건 할수 있을것 같긴한데...( 60% )
I could do that.
어렸을때는 그래도 동네 작은 강에서 좀 뛰어는 봤다......그렇지만...어후...겁 나는데?
아...음...아마...할수도 있을거야....( 30% )
I may do that.
하...보기만 해도 아찔하네...그래도 어찌어찌하면 되지도 않을까?
아....음...아마..어쩌면..할수 있을지도...( 10% )
I might do that.
정도의 차이가 보이세요?
Can 은 가능성. 즉, 그 능력이 되어야 하겠죠?
Could 부터는 100%가 아니기에 확실히 가능하다고 볼수 없어요.
I am really hungry so I could eat an elephant.
나 너무 배고파서 코끼리도 먹을수 있을거야.
진짜 코끼리 한마리를 먹는게 가능하진 않죠...
그렇다고 여러분들이 대화할때 가능한데도 예의차린다고 can 을 안쓰시면 안되요...
우리 정서와는 다르게 잘 못해도 난 잘 한다고 생각해야하고 잘한다 말해야 해요.
자신감 없는 사람은 별로랍니다.
왠만하면 할수 있다...라고 하세요..
could 를 can 의 과거형으로 쓸때는 문맥 자체가 과거형이어야 한다고 말씀드렸었죠?
잊지마세요...
may , might 관계도 마찬가지랍니다.
과거형의 문맥에서만 might 를 사용하고 그렇지 않을땐 가능성의 정도에 의해 거의 희박할정도일때 might 를 사용하시면 됩니다.
조동사 3가지 분류로 살펴보았구요.
이로써 저희는 기본 영어어순, 주어정하기, 시제, 영어 길게말하는 첫번째 방법, 조동사 까지 살펴 보았습니다.
다음 글 부터는 전치사 들어 가도록 할게요.
부정문이나 의문문도 해야하지만...
우선은 전치사 위주로 진행하고 틈틈히 다른것들도 다루겠습니다.
즐거운하루 되시고 한주 마무리 잘하세요..^^♡
'기초영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21. 전치사. 쉽게 쉽게 배우셔야죠. (0) | 2019.01.16 |
---|---|
20. 전치사. 이것만 이해해도 기초영어 절반은 먹습니다. (3) | 2019.01.13 |
18. 조동사. 의지, 미래형을 말하고싶을때...shall, will, would. (0) | 2019.01.05 |
17. 조동사 - 부담을 주는 must, have to, have got to, ought to, should (0) | 2019.01.03 |
16. 조동사. 과연 무엇일까? (0) | 2018.12.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