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기초영어

37. 조동사의 부정형은 어떻게 사용할까요?

안녕하세요. David 입니다.

제 글들을 주~욱 읽어 오신분들이라면 조동사가 무엇이고 어떻게 사용되는지 아실겁니다.
처음 오신분들이라면 제 글들을 처음부터 보시면서 차근차근 숙지하시고 보시길 바래요.

앞서 부정형에 대한 글 보시면 미래형을 얘기할때 조동사 will 을 사용하고 조동사에 부정형을 사용한다고 했죠?
will do    will not do   won't do
will be    will not be    won't be

왜 미래형에 조동사 will 을 사용할까요?
( be going to 도 있습니다. 이건 다음에)

해야한다, 앞으로 해야할것의 느낌의 will...
앞으로 뭔가를 해야하고 will do
앞으로 뭔가가 되어야하고 will be 명사
앞으로 어떠한 상태가 되어야하고 will be 형용사 ( 부사 )
앞으로.. 앞으로.. 해야하고 되야하고..
미래의 느낌 드나요?

또한...
조동사는 행동보다 앞서는 마음에 대한부분이 커요. 어떤분은 긴장감의 무게, 정도 라고도 표현하기도 해요.
그래서 가능성의 can은 100%,
could 는 80%,
may 는 50%,
might 는 20%
이런식으로 표현하기도 하더라구요.
저도 맞다고 생각해요. 정확한 % 는 아니지만 그러한 느낌과 뉘앙스인것은 맞는거 같아요.

마음가짐이나 다짐, 고유의 능력등은 행동하는것보다 우선이겠죠?
그래서 어순에서도 행동보다 마음인 조동사가 먼저 나옵니다.
그 마음가짐이 이다, 아니다. 긍정부정  표현이 행동보다 마음쪽에서 나오는것이 상식선상에 있는것이고, 그래서 미래형으로 말할때 will 을 기준으로 긍정, 부정을 표현해주는것이죠.

조동사 will 이 미래형으로 느껴지시고 조동사의 어순이 왜 동사보다 앞서는지 느낌이 오셨다면..
부정형 역시 쉬워집니다.


표로 정리해보았습니다.

조동사 부정형에 대해 상세한 예문이나 풀이는 조금더 진도 나아간 후에 한꺼번에 하도록 하겠습니다.

유의하셔야할점 몇가지만 짚어드릴게요.

우선 대부분 조동사 다음 not을 사용하지만 ought to 의 경우 ought not to 로  이어집니다.
본래 동사 ought 역시 틀림없이 뭔가 해야하는 의미로 쓰이기에 이것만으로도 부담의 느낌을 주는 조동사처럼 사용가능합니다. 하지만 그다음 대체적으로 to 동사가 기본적으로 나오기 때문에
ought to 까지를 조동사로 인지해버린것이라 생각됩니다.
위설명 어려우시면 잊으셔도 됩니다.
그냥 ought to 이것이 부담의 조동사구나...이것만 아시면 됩니다.

대체적으로 부담,확신,강요 할때 쓰는 조동사가
Must,  ought to,  should 인데
must 대신 have to,  has to를 많이쓰고,
조금 약하게는 should 를 많이 사용합니다.
다만 일반적인 대화에서 그렇고 법적인 문서와 같은 중요한 내용에서는 should 는 사용하지 않아요.
이때 ought to 를 많이 사용합니다.
여러분은 일반대화에서 어떤것을 사용하실지 아시겠죠?  ^^

단순미래형으로 사용되는 의지..
영국식으로는 shall 을 많이 사용했었고 미국식으로는 will이 일반적이었지만 지금은 will이 통상적으로 쓰여요.
다만 하고자하는바가 조금더 강한 의지를 나타내고싶을땐 shall을 사용합니다.
shall notshan't 로 줄여쓰기도 하지만 거의 못보실거라서 표에서는 생략했습니다.

능력과 가능성의 may, might 역시
may not   mayn't ,  might not    mightn't 으로 줄여쓰기도 하지만 거의 못보실테니..생략..
아니 잊으셔도 됩니다. ^^

조금 어렵게 느껴지시죠?
그냥 다잊으시고 아주 살짝 정리해볼게요.

한다, 안한다.  Don't
이다, 아니다. Be not
경험이 있다, 없다. Have not pp (done, been)
할거다,  하지 않을거다. Will not

이것이 기본적인 핵심입니다.

좋은하루되세요. ^^♡